금리를 좀 올려야겠어요. 이 한마디 말 때문에 미국 나스닥이 하루 만에 18%나 폭락을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걱정이 좀 많죠 금리가 인상된다고 이거 우리 주식하고 부동산 가격 다 빠지는 거 아니냐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냐 마냐는 한국 시장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다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러면 대체 금리와 기준금리가 뭐길래 이렇게 난리인지 그래서 오늘은 기준금리와 빅 스텝, 자이언트 스텝이 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에서 글씨 클릭하면 이동됩니다.
목차
금리
솔직히 금리가 뭔지 모르는 사람은 뭐 별로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간단하게만 짚고 넘어가면 금리는 원금에 지급되는 기간당 이자를 비율로 표시한 겁니다. 같은 의미로는 이자율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100만 원만 꿔달라고 했을 때 1년 금리 5%인 은행에 만약에 A 씨가 은행에 가서 100만 원을 빌렸다고 쳐봐요 그러면은 금리가 5%였으니까 백만 원에다가 5만 원을 더 해서 갚아야겠죠. 여기서 100만 원은 원금, 5만 원이 금리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준금리
그렇다면 기준금리는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준금리는 한 국가의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이건 뭐 누가 결정하는가는 뻔해보입니다. 그냥 나라(국가)가 결정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솔로 나라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1%로 결정하면 그러면 그냥 솔로 나라의 기준금리는 즉각 1%가 되는 겁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미국의 경우에는 이제 연방준비제도라고 해서 패드가 결정합니다.
그렇다면 기준금리는 나라가 결정하는 하는것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이 기준금리라는 게 그 나라 경제를 통째로 바꿔버릴 정도로 강력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준금리가 변하면 기본적으로 시중은행 증권사 보험사의 금리도 모두 다 바뀝니다.
아니 중앙은행이 한마디 했다고 해서 다 바뀐다고 도대체 어떻게 그럴까요?
지금부터 그 시스템을 쉽게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먼저 중앙은행이 어떤 역할을 하는곳이냐면은 중앙은행은 은행들의 은행입니다. 은행에 돈 빌리고 싶으면 중앙은행으로 가야 합니다. 그래서 시중은행들이 다 중앙은행에 가서 돈을 빌려옵니다. 이때 중앙은행은 나라에서 정했던 그 기준금리보다 조금 이자를 더 쳐서 빌려줍니다.
그러면 은행, 증권, 보험사들은 중앙은행에서 빌려온 돈 가지고 돈 장사를 하는 겁니다.
근데 얘네 입장에서는 기준금리 이상의 수익을 먹어야 남는 장사이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빌려준 기준금리보다 이자를 조금 더 받아야 돈을 번다는 겁니다. 시중은행이 만약에 기준금리를 3%에 빌려왔다고 치면 나중에 A 씨한테 빌려줄 때는 2% 더 쳐서 5%에 빌려주는 겁니다. 그러면 시중은행은 2%의 차익 그냥 앉아서 버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국가가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막 결정하지는 않을 거잖아요. 중앙은행은 기본적으로 경제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기준금리 올리는 이유
기준금리 인상으로 뭘 잡느냐면은 "경기 과열"하고 "인플레이션"입니다.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잡으려면 기업도 돈을 많이 쓰지 않게 만들어야 되고 개인들도 돈 많이 쓰지 않고 갖고 있게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 시중에서 이렇게 거래되면서 돌고 있는 돈을 다시 다 뺏어가서 은행에 집어넣도록 만들어야 되는 거죠. 한번 가장 쉬운 것부터 말씀드려볼게요 여러분들이 이자율이 1% 일 때와 이자가 5% 일 때 언제 더 저축을 많이 하겠습니까?
당연히 금리가 인상돼서 이자 수익이 좀 짭짤해지면 개인들은 소비를 줄이면서까지 저축을 합니다. 이제 이자를 많이 주니까 소비를 좀 더 줄이고 그 돈으로 저축해야겠다. A씨는 돈을 쓸 수도 있었지만 돈을 아끼고 저축을 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시중에 있었던 돈이 은행으로 흡수가 된 거죠. 다음으로는 저축하는 사람들 빼고 주식에 투자한 사람들이나 코인에 투자한 사람들은 금리가 올랐을 때 어떻게 생각할까요?
위험한 주식 투자 코인 투자는 더 이상 안 해도 된다. 이런 식으로 불확실한 주식 투자 코인 이런 것보다는 확실하고 안전한 이자 수익을 훨씬 더 매력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엄청 많아지게 됩니다.
총정리 하자면 일단 사람들은 금리가 올라가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립니다. 그다음에 주식 투자 자금을 빼가지고 은행에다가 다 넣죠 그러면 기업에 투자됐던 돈들은 갑자기 쭉 빠져버립니다. 또 기업은 비싸진 이자 때문에 돈을 함부로 빌리지는 못하죠. 이미 큰돈을 빌리고 있었던 기업은 갑자기 비싸진 이자가 부담스럽습니다. 이런 기업들은 설비 투자도 못하고 사업 확장도 못하고 고용도 줄이게 되겠죠. 기업들이 쓰는 돈도 줄었고 일자리도 줄었으니까 사람들이 소비를 줄여서 물건을 안 삽니다. 기업들의 수익은 계속 악화됩니다. 투자도 계속해서 못 받고 돈도 못 빌리고 사업 확장은 당연히 꿈도 못 꾸고 고용은 또 줄어듭니다. 이렇게 안 좋은 것들이 계속 반복이 되면서 나라 전체에 돌던 돈들이 쭉 흡수되어 버립니다. 너무 과열됐던 경기가 어느 정도는 잡힌다는 겁니다. 게다가 부동산 가격도 떨어져 주가도 떨어져 물가도 오르던 게 다 떨어집니다. 인플레이션도 잡을 수 있는 겁니다.
▼▼▼▼같이 보면 돈아끼고 돈 버는 정보▼▼▼▼
[꿀팁모음] - 냉방병 증상, 치료방법, 예방법 총정리!
[꿀팁모음] -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와 사망이유?! (예방법총정리)
[이슈모음] - 한국전력 전기요금 인상?! 및 전기요금 절약 방법
[꿀팁모음] - 정기예금이율 높은 곳 찾는 쉬운 방법! (사는지역)
빅 스텝, 자이언트 스텝
전 세계적으로 물가와의 싸움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에 대한 대책으로 각국은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이때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포인트 인상하는 걸 "빅 스텝" 0.75% 포인트 인상하는 걸 "자이언트 스텝"이라고 부릅니다. 경제 상황을 진단해 필요에 따라 그 폭을 결정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국은 지난 5월 22년 만에 최대 폭인 빅스 탭을 단행했고 자이언트 스텝은 지난 1994년이 마지막 기록입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변동폭인 0.25퍼센트 포인트는 뭐라고 부를까요?
바로 "베이비 스텝"입니다. 네 번이나 연준 의장을 역임하며 미국 경제의 조타수라고 불린 앨런 그린스펀이 충격을 최소화하는 금리 변동 폭으로 0.25% 포인트를 제시했고 이 정책이 효과를 보자 0.25퍼센트 포인트는 그린스펀의 베이비 스텝이라고 불리며 적정 수치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준금리는 미국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재는 대부분 미국과 같이 0.25% 포인트 단위로 기준금리를 조정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올린 게 화두가 되어 한번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좋은 정보 얻는 그날까지 또 좋은 정보로 글쓰겠습니다.
'이슈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빚 탕감, 대출 원금 및 이자 정부에서 갚아줍니다! (총정리) (0) | 2022.07.19 |
---|---|
빅마우스 등장인물, 인물관계도 총정리! (0) | 2022.07.18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장인물 및 채널 완벽정리! (0) | 2022.07.08 |
산탄총! 아베 전 총리 유세중에 총상! (0) | 2022.07.08 |
송가인 광주 콘서트 예매 방법 총정리 (7월8일부터!) (0) | 2022.07.08 |
댓글